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시간복잡도
- mdn
- 맥북 터미널 명령어
- js입력받기
- let const 차이
- doubly linked list
- python
- 자바스크립트
- 배열 예시
- 웹프로그래밍
- Django
- djangoframework
- javascript
- 사용자입력
- 자료구조
- 장고
- CLI 명령어
- 알고리즘
- js
- djangoprogramming
- linked list 현실 사례
- 입력받기
- singly linked list
- let const var 차이
- 리눅스 기초 명령어
- 배열 사례
- 배열이란
- 트리 시간복잡도
- django로그인
- 웹개발
- Today
- Total
목록용기러기's javascript (8)
용기러기's Coding World
안녕하세요:D 오늘은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 있는 조건문(if/else if/else) 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법(유명한)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D 공기업(?) 준비를 안해봐서 모르지만 각종 인적성이라던지 취업 준비생들이 푸는 문제에 자주 출제되는 걸로 아는 철학의 논리학에서 이러한 삼단논법이 있는데요! 저는 오늘 철수는 결국... 죽는다는 슬픈사실을..ㅎㅎㅎ 자바스크립트의 if문을 통해서 밝혀(?)보도록 하겠습니다:D 이런식으로 표현해볼 수 있는데요 프로그래밍에서 조건문은 이처럼 논리학에서의 '전제'처럼 쓸 수 있습니다. if문에서 만약 someOne(누군가)이 사람이라면 => will die someday (언젠가 죽는다) [대전제] 그 위에 변수 선언문에서 someOne = 'person' ..
안녕하세요 :D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서 출력해보는 기능을 위한 prompt 문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D 일단 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상황을 가정하고 그에 따른 코드를 구현해보며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D 일명 ! '자소서 복사기' 말도 안되는 프로그램이지만..ㅎㅎㅎ 쓰기 귀찮은(?) 자소서에 각자의 이름만 입력하면 멋진 자소서를 출력해주는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합니다:D 자소서 복사 프로그램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1) 이름을 입력받는다(prompt) 2) 입력받은 이름을 선언한 변수(name)에 할당한다 3) 미리 자소서 양식을 변수로 만들어 둔다. 이 때, 이름 부분에 템플릿 리터럴(Template Literal)을 통해 name변수로 뚫어(?) 놓는다 4) 이름이 추가된 자..
안녕하세요 :D 오늘은 공통적으로 변수를 선언(Declaration)하는 데에 쓰이는 var, let, const가 개별적으로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비교하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D 먼저, var 에 대해서 살펴보면, 위를 보시면, 변수명 mvp라는 변수에 '코비 브라이언트'라는 문자열을 할당(assignment)해준 것을 볼 수 있습니다:D 그런데, 한번 선언된 mvp 변수를 밑에서 또다시 써서 이번에는 '홍용기'라는 (제이름입니다..ㅎ) 문자열을 넣어줬는데요! 이렇게 이미 선언한 변수를 또다시 선언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var'의 특징입니다 :D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코드가 길어졌을 경우 이미 선언했던 변수인지, 나중에 그러면 특정 변수명을 썼을 때 어떤 값이 출력될지 알 수 없는.. 혼동이 올 ..
안녕하세요 :D 오늘은 Js의 Array 내장 객체의 메서드들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간단하게 array(배열)는 순서가 있는 자료! 인데요 예를 들어, "1번 파일 좀 가져다줘!" 라고 하면 명확하게 1번 파일첩에 1번 파일이 있어야 주문을 받은 사람이 가져다 줄 수 있겠죠? 이런식으로 배열은 1번에 1번 파일을 넣어놓고, 나중에 1번! 하면 1번 파일을 쓸 수 있도록 저장해놓은 자료라고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D 그럼 이러한 Array 내장 객체에서 제공하는 메서드들, 그중에서도 유용하게 쓰일만한! 것들을 살펴볼건데요! 1) Array.from(배열, 조건); 먼저, Array.from(배열, 조건); 인데요! 배열 부분에 배열을 넣고, 조건 부분에 위의 예시처럼 ' x => x +x ' ..
안녕하세요 :D 오늘은 제목 그대로 배열에서 문자열로(from Array to String) 그리고 문자열에서 배열로(from String to Array) 쉽게 바꿔보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 1) Array to String 먼저, 제가 만든 start기계(?) 인데요 ㅎㅎ 배열에 3,2,1, "start"라는 요소(총4개) 를 넣어놨습니다 근데 제가 워낙 변덕이 심한 사람이라(?) 배열 [ ] 안의 모든 것을 문자열로 바꾸면 딱 startMachine이 마음에 들 것 같아서 바꾸고자 합니다:D 방법은? 간단합니다 :D 문자열로 바꾸고자 하는 배열에 이런식으로 toString() 메서드를 써주면 **Tips join() 메서드도 같은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join메서드는 괄호 안에, 예를 ..
안녕하세요 :D 오늘은 for문을 쓸 때 특정 자료(배열, String 등)의 요소를 순서대로 좀 더 편리하게 꺼내오는 방법에 대해서! 그리고 그중에서도 for in 과 for of의 차이점에 중점을 두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 (그러나, 아직 제 지식이 불완전한 이유로 단순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차이를 논하겠습니다) 1) for in 먼저 for in에 대해서 살펴볼건데요! 위를 보시면, 요소를 하나하나 가져오는데 굳이 이렇게 써준 이유가 궁금하실텐데요!(아닌가요..?) 여기에 for in의 특징이 있습니다 :D 결론적으로, for in은 요소를 하나하나 가져오는 것이 아닌 요소의 인덱스(index)를 가져온다는 점! (** 객체의 경우에는 객체의 키 값들을 가져온다는 것 기억해주세요!) 저렇게..